-
[ 목차 ]
📌 민생회복지원금 / 소득분위 10분위 / 소득 10% / 정부지원금 기준이 궁금하신 분이라면 꼭 확인하세요!
✔ 소득분위란 무엇인가요?
소득분위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소득 수준을 순서대로 정렬한 후, 이를 동일한 인원수로 나누어 10개의 구간(1~10분위)으로 나눈 지표입니다.
쉽게 말해 1분위는 하위 10%, 10분위는 상위 10%의 가구를 의미하며, 정부의 각종 복지제도와 지원금 지급 기준으로 사용됩니다.
예를 들어, 어떤 지원금의 수급 조건이 "소득 하위 60%"라면 1~6분위에 해당하는 가구가 대상입니다. 반면 "소득 10% 이하"는 1분위 가구만 해당되므로 기준이 훨씬 더 엄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.
✔ 소득분위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?
1) 중위소득이란?
중위소득은 전체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가운데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입니다. 2025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약 5,400,000원으로 설정되어 있으며, 이를 기준으로 각 분위가 나뉘게 됩니다.
2) 소득인정액이란?
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 + 재산의 소득환산액
즉, 월급 등 실제 소득에 더해 전세금, 예금, 차량 등 재산을 일정 비율로 환산한 값을 더한 금액입니다. 이 금액을 통해 각 가구가 어느 분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.
✔ 건강보험료로 대략적인 소득분위 추정하기
직장가입자 기준 건강보험료는 소득과 밀접하게 연동되어 있어, 이를 통해 대략적인 소득분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.
- 1분위: 월 보험료 10~15만 원 이하 (소득 약 200만 원 이하)
- 2~3분위: 15~25만 원 수준
- 4~6분위: 25~35만 원 수준
- 7~10분위: 35만 원 이상
※ 가족 구성, 지역가입자 여부, 재산 보유 등에 따라 정확한 판단은 '소득인정액'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.
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료 조회로 내 소득분위 확인하기
✔ 소득분위별 소득 구간 예시 (2025년 4인 가구 기준)
소득분위 | 예상 월 소득 |
---|---|
1분위 | ~2,000,000원 |
2분위 | ~2,700,000원 |
3분위 | ~3,400,000원 |
4분위 | ~4,000,000원 |
5분위 | ~4,600,000원 |
6분위 | ~5,400,000원 (중위소득) |
7~10분위 | 그 이상 |
✔ 민생회복지원금과 소득분위의 관계
2025년 기준 민생회복지원금은 대부분 소득 하위 60% 이하(1~6분위)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.
특히 소득 10% 이하(1분위)의 경우, 추가적 지원이나 우선 지급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예를 들어, 서울시는 1~3분위 가구에 100% 금액을 지원하고, 4~6분위에는 70%, 7~8분위는 일부 감액 지급을 검토 중입니다. 이에 따라 소득분위가 낮을수록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✔ 마무리 – 우리 집 분위 알고 준비하세요
소득분위는 단순한 통계 수치가 아니라, 실제 정부 지원제도의 혜택 여부를 가르는 중요한 기준입니다.
특히 2025년에는 각종 에너지바우처, 민생회복지원금, 부모급여, 기초생활보장 등 수많은 제도가 소득 분위 기준으로 혜택을 차등 적용하고 있으므로, 꼭 사전에 분위 확인을 하시길 권장드립니다.
👇 지금 바로 복지로에서 내 가구의 소득분위 확인해보세요 👇